쉽게 따라하는 전월세신고(임대차신고) 온라인으로 하는 법 알려드려요.
본문 바로가기
부동산

쉽게 따라하는 전월세신고(임대차신고) 온라인으로 하는 법 알려드려요.

by 돈샘 2023. 5. 30.
반응형

쉽게 따라하는 전월세신고(임대차신고) 온라인으로 하는 법 알려드려요.

 

 

 

전월세 신고(임대차 신고) 제도가 무엇인지, 신고대상, 계도기간, 과태료 등 내용이 궁금하신분은

아래 글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. 

☞ 전월세 신고제(임대차 신고제) 계도기간 종료 과태료 신고방법 문의 대비책 알려드려요

 

 

그럼, 쉽게 따라하는 전월세신고(임대차신고) 온라인으로 하는 법 알려드리겠습니다. 

 

 

반응형

 

1.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. 

☞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바로가기 

 

국토교통부 / 부동산 거래 관리 시스템

부동산거래신고 : 1588-0149 주택임대차신고 : 1533-2949

rtms.molit.go.kr

 

 

 

 

2. 시도, 시군구 선택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

좌측 시도 선택 → 시군구 선택 후 '신고하기'를 클릭합니다. 

 

 

 

3. 신고서 등록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

좌측 '임대차신고' → '신고서 등록'을 클릭합니다.

 

 

 

 

4. 로그인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

로그인을 하라고 창이 뜨는데요. 

'로그인'을 클릭합니다. 

 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

주민번호, 성명 입력 후 '로그인'을 누릅니다. 

공인인증서 창이 뜨는데요. 

공인인증서 선택 후 인증서 암호를 입력하고 '확인'을 누릅니다. 

 

 

 

5. 신고서 등록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

로그인이 한 후에, 다시 '신고서 등록'을 눌러줍니다. 

 

 

 

6. 소재지 입력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

주소를 입력합니다. 

자동으로 행정동이 선택됩니다. 

신청인구분은 '임차인' 체크 (보통 임차인이 신청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) 후 '확인'을 누릅니다.

 

 

 

 

7. 임차인 정보 입력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

임차인 정보 입력 후 '저장'을 눌러줍니다. 

 

 

실명확인 화면으로 이동합니다. (확인 클릭)

 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

좌측 인증번호를 입력후 '확인요청'을 누릅니다. (실명인증 완료)

 

임차인 정보 입력내용 확인 후 다시 한번 '저장'을 눌러줍니다. 

 

 

 

 

8. 임대인 등록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

'임대인 등록'을 눌러서 임대인 정보를 입력해줍니다. 

 

 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

계약서 내용과 동일하게 '임대인' 정보 입력 후 '저장'을 눌러줍니다. 

 

 

 

 

9. 임대목적물 입력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

계약서 내용과 동일하게 임대목적물 입력 해줍니다. 

계약서를 첨부해야 합니다. (계약서를 첨부하는 것이 신고하는데 수월합니다)

 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

'계약서 첨부' 클릭 후, 계약서 스캔한 파일을 선택 후 '추가'를 눌러주시면 됩니다. 

아래 파일업로드 목록 확인 후 '닫기'를 눌러줍니다.

 

스마트폰으로 문서를 스캔해서 첨부파일을 올려주시면 됩니다. 

☞ [컴퓨터 꿀팁] 스마트폰으로 문서 스캔하는 방법 알려드려요 (아이폰, 안드로이드)

 

 

 

 

 

10. 임대 계약내용 입력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

계약서 내용과 동일하게 계약내용(보증금, 계약기간 등)을 입력한 후 '등록완료'를 눌러줍니다. 

 

 

 

11. 입력내용 최종 확인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

입력내용 최종 확인 후 '작성완료'를 눌러줍니다. 

 

 

 

12. 전자서명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

'서명하기'를 누릅니다. 

 

 

 

 

13. 신고필증 출력

 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에 접속 후 '신고 이력조회'를 클릭합니다.

 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

 

 

 

신고접수가 처리(승인)가 완료되면 필증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. 

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

 

이상, 쉽게 따라하는 전월세신고(임대차신고) 온라인으로 하는 법 알려드렸습니다. 

 

 

 

 

반응형

댓글